
안녕하세요, 한국교육시설안전원입니다
봄이 성큼 다가오고 있는 요즘! 날이 많이 풀리면서 쌓여있던 눈과 꽁꽁 얼어있던 땅도 녹고 있는데요!
얼었던 땅이 녹고 지반이 약해지면 각종 시설물에 균열이 생기거나 붕괴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2월과 3월, 해빙기에 유의해야 할 교육시설 재.난.관.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한눈에 보는 교육시설 안전매뉴얼! 재난관리 핸드북 7편. [해빙기]

해빙기란?
해빙기란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계절전환기에 지반이 동결·융해 현상을 반복하다가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녹기 시작하면서 수분양이 증가하여 지반, 축대, 옹벽 등이 약해지는 시기를 뜻합니다.
해빙: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얼었던 땅에서 얼음이 녹음
사고발생: 각종 시설물의 침하, 균열 및 붕괴 등 안전사고가 발생

해빙기 주요 안전사고 유형
-일부 눈이 녹지 않은 구간으로 인한 미끄럼 사고 발생 -주변 지반의 연약화에 따른 건축물의 기울어짐 발생 -옹벽 및 석축 부근의 지하수 침투에 의한 배부름현상 발생 -지반의 동결, 융해에 따른 비탈면 붕괴 위험 -교육시설 주변 산악지형의 낙석·낙빙 위험 -교육시설 주변 공사현장 절토면 붕괴 위험


해빙기 대비 점검사항 안내
교실에서는?
- - 미끄럽지 않은 운동화 착용하도록 유도
- 활동 중에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전자기기 조작을 자제 - 경사면 및 비탈면 주변으로 보행 및 통행 금지 - 건물 뒤편 폐쇄된 곳이나 익숙하지 않은 구간 이동 금지 (보행로가 아닌 곳 통행 금지)
-
건축 및 토목 점검사항
- 건축물이 균열이나 지반침하로 기울어져 있는지 확인 - 출입구(캐노피)과 주건물 사이에 이탈현상 확인 - 교목이 기울어져 있는지 확인 - 보도블럭 침하 및 지반에 물고인 상태 확인 - 옹벽 및 담장면에서의 균열 발생 확인 - 배수로 및 배수공이 막혀있지 않도록 청소상태 확인 - 절개지나 언덕 위에 바위나 토사가 흘러내릴 위험이 없는지 확인 - 지중 매설관의 손상 확인 - 위험구간 등에 접근금지표지 및 안전펜스 설치 확인


해빙기 체크리스트
부등침하
- - 건축물의 기울음, 외벽 경사균열 발생 여부
- 주변 지반 부분 침하, 융기 현상 발생 여부 - 창과 문틀의 뒤틀림과 여닫기 곤란 상태 여부
-
구조 안전성
- -구조체(기둥, 보, 슬래브) 균열 발생 여부
- 철근 부식 및 노출 여부와 구조체 단면손상 및 하중증가 여부 - 철골재 구조물의 변형(휨, 처짐) 여부
-
석축, 옹벽, 담장 등
- - 균열 및 변형(배부름) 발생 여부
- 침하, 기울어짐 등 발생 여부와 배수 시 흙, 모래의 유출 여부 - 배수공의 막힘 등 배수 기능 저하 여부
-
법면(비탈면, 경사면) 등
- -균열 및 변형 발생 여부와 낙석 발생 여부
- 토사 흘러내림 및 침하 발생 여부 - 수목의 전도 및 변형 발생 여부
-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2월~3월에는 해빙기 관련 안전사고 발생이 증가합니다!
한국교육시설안전원과 함께 건축 및 토목, 부등침하, 구조 안선정 등 시설물을 꼼꼼히 점검하시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