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사업 진행상황
Home
정보공개
주요사업 및 경영성과
주요사업 진행상황
주요사업 진행상황
- 주요사업 진행상황(공제분야)
-
1.공제사업 혁신을 통한 선진 공제제도 달성
- 대학 배상책임공제 담보확대 방안 마련
- 단계적 포괄가입제도 도입 검토
2.교육시설 재난대응 통합관리체계 구축
- 재난 대응 통합관리체계 운영 계획 수립
- 재난 취약시기(여름철), 평시 상황별 재난 대응과 보고체계 구축
- 비상근무 편성과 업무 지원반 구성·운영
3.안정적인 공제사업 운영을 위한 재무건전성 확보
- 안전원 지급여력비율 적정성 평가
- 합리적 요율 산출 및 손해율 분석체계 고도화
4.교육시설 재난정보를 활용한 위험관리 체계 강화
- 교육시설 재난 예방 리마인더 사업 실시
- 교육시설 재난정보집 발간
- 기준일 : 2023년 07월 11일
- 제출일 : 2023년 07월 11일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구분,담당자명,부서명,전화번호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담당자명 부서명 전화번호 작성자 김성유 공제사업처 02-781-0197 감독자 김상기 공제사업처 02-781-0150 확인자 이창재 기획조정실 02-781-0110 ※ 경영공시와 관련한 사항은 이메일(pt@koies.or.kr)을 통해 문의 가능합니다.
※ 공시구분 : 분기별 공시
- 주요사업 진행상황(안전분야)
-
1.교육시설 안전점검·진단 등 안전관리 지원
-
배경
교육시설법 시행에 맞추어 교육시설에서 시행되는 안전점검 등에 대한 교육 및 안내 등을 통하여 안전점검 조기 정착 필요 -
추진성과
교육시설법 상 업무 수행을 위한 체계 구축 실시- 교육시설법 하위 규정인 「교육시설 안전점검 등에 관한 지침」고시를 위한 업무 지원 실시
- 안전점검 지침 관련 교육자료, Q&A, 업무 매뉴얼 작성 및 규제영향 분석서(비용편익분석) 작성 지원 등
- 교육시설법 상의 안전점검 평가 등의 업무 수행을 위한 안전관리 사업 운영 규정 마련
- 교육시설 안전 및 코로나-19 방역실태 현장 점검 지원
※ 교육부 신학기 대비 학교안전 점검 : 행당중 등 35개교, 교육부 대학기숙사 방역실태 현장 점검 : 서울대 등 49개교
2.교육시설 모니터링 및 긴급 대응·조치
-
배경
최근 학교 주변의 빈번한 건설공사와 재난 발생으로 인하여 교육시설이용자와 교육시설에 피해가 우려- 교육시설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체계 구축 필요
-
추진성과
재난발생 시 신속한 현장 출동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안전원 긴급대응반 재편성을 통하여 신속한 대응 체계 마련- 전국적 분야별 안전플랫폼 구축 및 긴급대응반 구성·운영
- 학교 안전관리 수시 모니터링 및 사고발생 전후 긴급 현장조사 및 초기 대응조치
-
추진성과
교육시설법 상의 교육시설 사고조사위원회 구성-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시설 사고조사위원회 운영을 통한 사고현장 정밀 조사 및 사후대책 제시
-
- 기준일 : 2021년 07월 07일
- 제출일 : 2021년 07월 07일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항목별 공시담당자 : 구분,담당자명,부서명,전화번호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담당자명 부서명 전화번호 작성자 이중엽/이현석 안전관리처 02-781-6834, 0184 감독자 김태형 안전관리처 02-781-6833 확인자 박판수 안전관리처 02-781-0136 ※ 경영공시와 관련한 사항은 이메일(pt@koies.or.kr)을 통해 문의 가능합니다.
※ 공시구분 : 분기별 공시
- 주요사업 진행상황(교육분야)
-
1.서울교육청 기술직 신규공무원 교육·실무수습
-
추진배경
서울특별시교육청 기술직분야 채용자의 기술력 향상 요구- 전문성과 현장경험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훈련 과정 부족으로 현장 투입 시 담당 직무 수행이 어려움
-
추진성과
기술계고 채용 기술직 인력에 대한 실무 체험 및 공직 적응 지원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훈련 실시
- 교육기간 : ’23. 4. 17.(월) ∼ 5. 26.(금), 6주
- 교육시간 :총 174시간
※ 이론(85시간), 실습(70시간), 평가(12시간), 기타(7시간) - 교육대상 : 지방공무원 9급(시설관리직렬) 20명
- 교육이수 : 교육대상자 20명 수료 완료(100%)
- 교육내용 : (이론+실습+멘토링+평가+기타교육) 1) 안전원 법정사업(교육시설 안전점검, 안전성평가, 내진보강 등) 교육, 도면 및 품셈 교육
- 2) 교육시설 화재 및 실험실습실 안전점검, 재난현장조사, 에듀빌 실습 교육 등
- 3) 서울시교육청 경력자 멘토링 교육
- 4) 문서(보고서) 작성 교육, 안전관리 역량강화 교육
- ☞ 교육청 교육연수원 과정과 차별화된 OJT교육과 직장 경험 등을 통한 실무역량 강화
2.교육시설 안전‧유지관리 전문교육 운영
-
추진배경
「교육시설법」시행에 따라 관계자 의무이행 사항 세부내용을 안내하여 실행력 강화를 위한 교육시설 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 필요- 교육시설법 제28조(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한 교육)
- 교육시설법 제36조(안전원의 사업)
- 교육시설법 시행령 제24조(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한 교육)
-
추진성과
선제적 재난예방을 위한 교육시설 안전관리 전문교육을 다양한 교육방식(집합, 비대면, 온라인)으로 운영- 교육대상: 교육대상: 교육(지원)청 및 학교(기관) 시설‧안전관리‧행정 담당자, 기타 관계자(건설사업자, 연구활동종사자 등)
- 운영현황: 교육시설 안전관리 전문교육 실시(’22.12.31.기준)
포스트 코로나 대비 비대면 교육 활성화 : 교육과정명,주요내용,일시,수료인원,교육대상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교육과정명 방식 교육일 수료자 교육시설법의 이해 집합 2022.5.27. (4H) 25 집합 2022.6.24. (4H) 32 Zoom 2022.7.22. (4H) 84 Zoom 2022.8.12. (4H) 87 집합 2022.8.26. (4H) 28 Zoom 2022.9.30. (4H) 85 집합 2022.10.28. (4H) 31 집합 2022.11.25. (4H) 29 교육시설 안전점검 및 관리실무 Zoom 2022.5.19. ~ 20. (12H) 93 집합 2022.6.2. ~ 3. (12H) 35 Zoom 2022.8.4. ~ 5. (12H) 107 Zoom 2022.9.1. ~ 2. (12H) 93 집합 2022.11.3. ~ 4. (12H) 36 교육시설 화재안전 관리실무 Zoom 2022.5.12. ~ 13. (12H) 72 집합 2022.6.16. ~ 17. (12H) 43 Zoom 2022.7.14. ~ 15. (12H) 92 집합 2022.9.22 ~ 23. (12H) 30 Zoom 2022.10.6. ~ 7. (12H) 93 학교시설 내진사업 관리교육(기초/심화) Zoom 2022.7.1. (4H) 94 Zoom 2022.8.19. (4H) 81 Zoom 2022.9.16. (4H) 80 Zoom 2022.10.21. (4H) 93 Zoom 2022.11.18. (4H) 70 여름철 재난(풍수해) 대비 교육시설 안전관리 Zoom 2022.8.30. (3.5H) 118 교육시설 소방 및 화재예방 교육 Zoom 2022.11.11. (4H) 102 시·도교육청 기술직 신규공무원 역량강화 전문교육 집합 2022.9.29. ~ 30. (14H) 51 비이공계 실험실습실 안전교육(통합‧미술‧공연‧체육) 온라인 교육 콘텐츠 상시 (4H) 1,636 교육시설법의 이해 (1.5H) 633 교육시설 안전성평가 제도 안내 (2.5H) 179 교육시설 안전성평가 제도 안내(건설사업자) (2.5H) 22 교육시설 안전점검 및 관리실무 (6H) 444 교육시설 화재안전 관리실무 (3H) 309 총 수료인원(명) 5,007 - 교육 운영 홈페이지(LMS) 내실화를 위한 온라인 교육과정 추가 개발
- 2022년 3개 교육과정(교육시설법 하위규정, 학교시설 내진사업 관리교육, 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사전 예방교육) 추가 개발 중
3.임직원 직무능력과 변화대응 역량개발
-
추진배경
「교육시설법」에 의한 법정사업과 안전원 추진 사업에 부합한 업무수행을 위한 지속적인 인력 채용에 따른 인재 양성 지원- 교육시설 안전 및 유지관리 업무수행을 위한 지속적인 인력 채용으로 분야별 인적자원 기반 마련에 따른 임직원 전문교육 필요
- 직급별·직무별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특성화 교육 실시로 분야별 핵심인재 양성 및 임직원 교육 운영 체계 강화
-
추진성과
임직원 법정·소양교육 및 역량강화 교육 등 확대 실시- 지속적인 인력 확대와 조직변화에 따른 직급별 소통 강화를 위한 직급별 전문교육 실시(과·차장, 대리급 교육 등)
- 건전한 조직문화 조성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소양교육 내실화(소통·공감, VOC 교육 등)
- 부서별 맞춤형 전문역량 강화 및 화합을 위한 소통 프로그램(4D)를 통한 내실있는 부서세미나 운영
- 신규직원 대상 내부교육과정 확대 실시(브레인스토밍 등)
- 임직원 법정교육 추가 과정 실시(산업안전보건, 이해충돌방지법 등)
- 기준일 : 2022년 10월 4일
- 제출일 : 2022년 10월 4일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구분,담당자명,부서명,전화번호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담당자명 부서명 전화번호 작성자 현지이, 윤다혜, 문지은 안전문화처 02-781-0143,6,8 감독자 김남선 안전문화처 02-781-0147 확인자 조용선 안전문화처 02-781-0140 ※ 경영공시와 관련한 사항은 이메일(pt@koies.or.kr)을 통해 문의 가능합니다.
※ 공시구분 : 분기별 공시
- 주요사업 진행상황(연구분야)
-
1.학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연구
-
연구개요
- 배경 : 점차 증가하는 안전사고로 인해 교육시설 안전에 대한 요구 증대
- 목표 : 학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3개 분야에 대한 개선대책 마련
- 연구기간 : 2021. 4. ~ 10. (발주기관 : 경기도교육청 학교안전기획과)
-
주요내용
- 안전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설 개선사항 제시
- 안전사고 보고시스템 분석을 통한 보고체계 개선방안 제시
- 안전관리 정책 분석을 통한 개선된 안전정책 방안 마련
2.법에 따른 「교육시설 기본·시행·실행 계획」 수립
- 배경 :「교육시설법」 제5조에 따라 ‘교육시설 기본계획’수립 필요
- 목표 : 분야별 중점과제를 선정하고, 각 과제별 세부 실천계획 제시
-
수립절차
-
- 2021. 7. 19.
- 교육부장관
- 5개년교육시설기본계획 수립
- 2021. 11. 30.
- 감독기관의 장
- 2022년도 세부사업별 시행계획 수립
- 2021. 12. 30.
- 교육시설의 장
- 2022년도실행계획 수립
- 2023. 4. 30.
- 교육시설의 장
- 시행 결과 제출(감독기관의 장)
- 추진실적 : 안전한 교육시설, 지속 가능한 교육환경 및 효율적인 시설관리 등 3대 전략목표와 8대 중점과제 제시
3.법에 따른 「교육시설 안전·유지관리기준」 고시
- 배경 : 법 제10조에 따라 ‘교육시설 안전·유지관리기준’고시 필요
- 목표 : 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교육시설의 일원화된 안전관리 기준 마련
-
수립절차
-
- 2019. 12. 3.
- 교육부장관
- 교육시설법 제정
- 2020. 12. 4.
- 교육부장관
- 교육시설법 시행
- 2021. 12.
- 교육부장관
- 교육시설의안전·유지관리기준 고시
- 2023. 4. 30.
- 교육시설의 장
- 고시에 따른 소관교육시설 점검·관리
- 추진실적 : 법률에 따라 교육시설의 안전‧유지관리 등에 필요한 구조 및 화재안전, 환경 및 재료 등 분야별 세부사항 마련(총 6장 55조로 구성)
4.학교 공사 중 안전관리 가이드 개발 용역(수탁)
- 용 역 명 : 학교 공사 중 안전관리 가이드 개발 용역
- 발주기관 : 서울특별시교육청
- 용역기간 : 2021년 11월 29일(계약일) ~ 2022년 2월 13일(75일)
5.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강화
- 배경 : 전문 기술력을 강화하고 안정적 사업추진 기반 마련
- 목표 : 교육시설에 대한 학술연구와 기술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
- 추진실적 :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등과 교육시설 관련 학술교류, 기술교류, 교육연수에 관한 업무협력 추진
-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구분,담당자명,부서명,전화번호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담당자명 부서명 전화번호 작성자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전 부서 02-781-0100 ※ 경영공시와 관련한 사항은 이메일(pt@koies.or.kr)을 통해 문의 가능합니다.
※ 공시구분 : 분기별 공시
-
- 주요사업 진행상황(그린스마트분야)
-
1.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실행기반 조성
-
배경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관련 각종 위원회 운영의 효율화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원활한 현장지원 체계구축 및 업무지원 활성화 -
추진성과
- 그린스마트 스쿨 검토위원회 운영지원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현장지원을 위한 단계별 컨설팅 실시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설명회 및 각종 워크숍 개최
- 그린스마트 스쿨 법률 현안 검토 지원
- 그린스마트 스쿨 홈페이지 구축 ·운영
2.그린스마트 스쿨 사업모델 구축
-
배경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담당자의 업무역량 제고 및 체계적인 업무수행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기관과의 업무교류를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추진성과
- 그린스마트 스쿨 조성을 위한 사업안내서 개발 ·보급
- 그린스마트 스쿨 도움자료 개발 ·보급
- 그린스마트 스쿨 핵심요소별 설계 도움자료집 개발 ·보급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적정대가 기준 마련
- 그린스마트 스쿨 중장기 연구개발 기획연구
- 그린스마트 스쿨 컨퍼런스 개최
3.그린스마트 스쿨 전문인력 육성 및 인식개선
-
배경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에 관한 국민의 신뢰도와 공감대 형성 및 전문인력 육성 -
추진성과
- 그린스마트 스쿨 「가상설계 및 콘텐츠」공모전
- 그린스마트 스쿨 다큐멘터리 제작 ·방영
- 그린스마트 스쿨 BI 및 캘리그라피 개발 ·보급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언론지면 홍보 및 공익광고 송출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 온라인 교육자료 개발
- 그린스마트 스쿨 사전기획 건축사 대상 실무교육 운영지원
-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절차 및 사전기획 집합교육 과정 개설 ·운영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항목별 공시 담당자 : 구분,담당자명,부서명,전화번호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분 담당자명 부서명 전화번호 작성자 조창희 교육시설지원처 02-781-6842 감독자 조창희 교육시설지원처 02-781-6842 확인자 유상현 교육시설지원처 02-781-6845 ※ 경영공시와 관련한 사항은 이메일(pt@koies.or.kr)을 통해 문의 가능합니다.
※ 공시구분 : 분기별 공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