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알림마당

한국교육시설안전원은 참여와 소통, 경청으로 회원에게 다가갑니다.

Q&A

Home 알림마당 Q&A Q&A
[내진보강 사업관리] 선형해석평가법으로 내진보강 실시설계가 가능한지 여부 문의드립니다.
건물의 개요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상4층(지상1~3층 철근콘크리트슬래브, 지상4층 트러스) 용도는 일반교사동입니다. (4층은 강당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

매뉴얼에 따라 상기의 사항과 같이 지상4층 트러스로 슬래브 다이아프램효과를 고려하기 불가합니다.

따라서, 당사에서의 판단시 우선 1차모드가 명확치 않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다이아프램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비선형정적해석

은 곤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m계수 또한 DCR이 3을 초과하는 부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사항에서 매뉴얼 P.63의 4.2.2 (8)항에 의거하여 선형해석법으로 내진보강 실시설계를 실시할 수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작성자 임청수
질문일 2022.08.24
처리상태 답변완료
조회수 530
공개여부 공개
답변자 김동연
답변일 2022.09.21
답변내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김동연 대리입니다.

 

 

 

문의주신 내용과 관련하여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2021, 이하 매뉴얼)' 2.2의 그림[2-1]에 따르면 내진성능평가 용역에서 제시된 보강안에 대해 공사추진 조건을 만족할 시 발주처는 이를 기반으로 내진보강설계 용역을 발주하게 되며 책임구조기술자는 내진성능평가 용역에서 제시된 보강안에 대해 재검토(구조안전성, 기능성, 시공성, 위치 등)을 검토하여 기본설계(구조설계)를 진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 프로세스를 따를 경우 선형해석평가법을 통해 내진보강설계가 진행된 것으로 사료될 수 있으며 '학교시설 내진설계 기준' 8.2.4[해설](1)에서는 '내진보강설계 시 지진하중에 의해 구조물에 생기는 부재력 및 변형을 구하기 위해 수행하는 구조해석법은 선형해석법과 비선형해석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탄성해석을 기반으로 하는 선형해석평가법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설계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상 문의주신 사항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