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으로부터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한
교육시설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오늘은 여름이 지나고 가을 오듯 예정된 순서와 시기에 맞춰 찾아오는 계절과 달리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지진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진 발생 시 어떤 피해사례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
또 언제 올지 모르는 지진을 대비하여
미리 안전점검을 도와줄 수 있는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지진 발생 시 가장 먼저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피해 사례로는 건물 내부의 기둥에 균열이 가는 것입니다.
단순히 기둥 상부에 균열이 생기는 것 뿐만 아니라
계단 옆 벽면에 계단식 균열이 생기기도 하고
기둥의 하부와 상부에는 균열 및 마감(미장)이 탈락하는 피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실내 마감재가 떨어져나가거나 창호 상부가 뒤틀려 개폐가 불가능해지는 피해 사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실내 마감재가 위에서 떨어질 경우 머리를 다치는 등 부상의 위험이 커지고
창호가 뒤틀려 개폐가 불가능해질 경우 대피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사전에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진이 발생 했을때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첫 번째로 알아볼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에는 화재 위험이 큰 가스, 전기 체크리스트입니다.
사전에 가스 누설 경보기과 배관 등 작동 여부와 파손 여부에 대해 잘 확인하도록 합니다.
전기 역시 파손되거나 벗겨진 전선이 없는지 체크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스
◦ 가스누설경보기 경보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가스 배관 고정상태, 파손 여부 확인
전기
◦ 등기구 파손 또는 탈락 여부 확인
◦ 변전실 메인 수배전반 등 파손 여부 확인
◦ 불꽃, 절단 또는 표피가 벗겨진 전선 유무 확인

다음으로는 건축과 토목에 관련된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크입니다.
지진 발생시 가장 큰 피해를 입기 쉬운 건축은
외벽 타일, 벽돌, 외벽 부착물 등과 같이 흔들림에 의해 떨어질 위험이 없는지 사전에 잘 확인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운동장 주변의 지반 침하여부와 빠른 대피를 위해 창호, 출입문 여닫이 상태, 승강기 정상 작동 여부 등을 사전에 체크해주어야 합니다.
건축과 마찬가지로 지진 발생 시 무너지거나 파손되기 쉬운 토목 관련 옹벽, 석축, 담장 역시 잊지 않고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통해 점검해주시길 바랍니다!
건축
◦ 외벽 타일, 벽돌 또는 석재 등 마감재 균열, 탈락 여부
◦ 외벽 부착물(간판, 현수막 등) 고정 여부
◦ 건물 및 운동장 주변 지반(땅) 침하 여부
◦ 창호, 출입문 등 개구부의 변형으로 인한 여닫이 상태 확인
◦ 주요구조부(기둥, 보, 슬라브 및 계단실 등) 균열 발생 여부
◦ 승강기 정상 작동 여부
토목
◦ 옹벽, 석축 등의 균열 또는 배부름 현상 발생 여부
◦ 담장, 축대 등의 균열 또는 파손 여부
◦ 절개지, 사면 등의 붕괴 또는 침수위험 여부 등

마지막으로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물 안에 있을 때 지진이 시작되어 진동이 느껴질 경우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구 밑에서 몸을 보호합니다. 또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해 신속하고 밖으로 이동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진 발생 시 건물 밖에서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서서히 속도를 줄여 차를 세우고 키를 꽂아 둔 채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도록 합니다. 높은 빌딩들이 많은 도심 속에 있을 경우 최대한 높은 빌딩이 있는 장소를 피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지진 발생시 입을 수 있는 피해사례와 함께 지진발생지역 교육시설 긴급 안전점검 체크리스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지진은 언제 갑자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통해 사전에 미리 위험요소들을 체크하여 대비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안전한 학교생활, 즐거운 교육시설을 위해 주기적으로 지진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