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체크리스트는 CCTV와 화재안전 등을 점검하기 위한 항목들이 있습니다.
CCTV 동작 및 충전 구역 감시 여부, 주변 장애물 여부를 확인하고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소화기 등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주변 물건 적치물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은 모두를 위한 공간이니 상시로 점검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갑시다.

만약 교내에서 전기자동차 화재가 발생한다면 이렇게 대처해 주세요!
119 신고 전에 불이 난 전기자동차로 접근하지 마세요.
또한 전기자동차에서 불꽃이 발생했다면 직접 화재를 진압하지 마세요.
전기자동차 또는 충전기 화재 발생 시 직접 불을 끄는 행동은 인명피해 등 추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위험합니다.
\
전기자동차 화재가 발생하면 학교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기자동차에서 불이 나면 119에 신고하고 소방대 화재 진압에 협조해 주세요.
빠른 대피를 위해 학생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고, 접근을 통제해 주세요.
그리고 119에 신고를 할 땐 전기자동차 화재임을 알리고 정확한 화재 장소를 함께 신고해 주세요,
주변 화재 확대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합니다.
화재 확대 위험 여부를 확인하고 화재 확대 시 소화기를 이용하여 소화 활동을 해주세요. 단, 옥내(지하층 포함)에 설치된 충전 구역의 화재 시 즉시 대피하여 주세요.
119에 신고를 한 뒤엔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해 두어야 합니다.
소방차가 교내로 신속히 진입할 수 있도록 교문 개방 및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해 주세요.
오늘은 이렇게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 주차구역 설치에 관련한 법령부터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과태료 대상,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의 체계적인 유지관리 방법 등 교육 시설 내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 체크리스트를 알아보았는데요,
수시로 점검하시고 안전하게 관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