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 교육시설 안전매뉴얼 재난관리 핸드북 '지진'편

안녕하세요, 한국교육시설안전원입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2024년 새해 첫날, 일본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작은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답니다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미리 알아두고 철저히 대비하는 게 중요한데요!
이에,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야심차게 준비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육시설 안전매뉴얼! 재난관리 핸드북 6편 [지진]

지진의 특징 지진이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하 진동으로, 땅이나 바닥이 흔들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국내의 크고 작은 지진의 발생 횟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지진로 인한 교육시설 피해 현황 최근 발생한 경주(2016)와 포항(2017) 지진으로 인하여 교육 시설에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경주 지진 피해 342교, 포항 지진 피해 178교가 발생 하였으며, 이 중 구조제에 심각한 피해를 받은 학교는 총 11교입니다.


지진 대비 점검사항 안내
행정실에서는? - 지진 대비 안전대책을 수립합니다. - 지진 옥외대피장소나 긴급대피장소를 사전 확인합니다. - 지진 대비 비상용품을 준비 및 보관장소와 사용방법을 파악합니다.
건물 내부에서는? -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물품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 창문&유리 파손 여부 확인하고 파손 시 투명 필름&테이프를 부착합니다. - 교실 내부에서 대피할 수 있는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합니다.
건물 외부에서는? -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대피로를 미리 파악합니다. - 건물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 중에 흔들려 떨어질 것이 없는지 미리 확인합니다. - 건물 외부 균열이 있는지 사전 확인 및 보수합니다.

지진 발생 시 점검사항 안내
건물 내부에서는? - 지진으로 흔들리는 동안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책상 다리를 꼭 잡습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비상대피로를 통해 질서를 지키며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 사용금지) -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경우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립니다.
건물 외부에서는? - 떨어지는 물건에 유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차량 이용 금지) - 대피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을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지진 후 점검사항 안내
교육시설이용자의 상황과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요청합니다. 교내의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안전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교내의 사물함, 보관함 등의 내용물이 쏟아져 내려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특히나 지진은 사전 예보가 불가능합니다.
지진 안전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대비하여 모두의 안전을 지켜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