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jpg](/data/editor/1[6].jpg)
우리가 흔히 산업 현장에서 보고 듣는 '안전제일'이라는 슬로건은 1906년 미국의 철강 회사 유에스 스틸사(U.S. Steel Co.)의 E H 게리 회장이 회사의 기본 운영 방침인 생산제일주의를 안전제일주의로 바꾼 데서 비롯됐다. 그 결과 회사가 재해 감소, 품질 향상, 생산성 향상 등 큰 성과를 거두자 전 세계 산업 전반에 걸쳐 안전제일주의 슬로건이 대대적으로 확산됐다.
특히 과학기술 연구·개발은 연구실 안전 확보 없이는 불가능하다. 첨단 과학기술은 국부(國富)와 직결되는 까닭에 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만명이 넘는 연구 인력이 각종 과학기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대학과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실 수만 해도 5만4000개소에 육박한다. 정부는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2006년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를 계기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이어 박근혜 정부의 중요 정책 중 하나인 창조경제를 뒷받침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제2차 연구실 안전관리 5개년 종합계획(2013~ 2017)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는 교육시설재난공제회에 별도 연구안전관리사업단을 구성해 연구 현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교육시설재난공제회는 대학 및 연구기관 등 연구실 안전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방문 점검과 기술 지도 같은 현장 중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도입한 '안전관리 우수 연구실 인증제도'는 연구 현장의 안전 점검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자율적 안전 의식을 높이고 제도 개선과 연구 현장 전반의 안전관리 내실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안전은 절대로 양보할 수 없는 가치임이 분명하다. 대한민국의 장래를 책임질 과학기술 분야의 창조적 인재들이 편안하게 연구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안전한 연구실 환경을 조성하는 일은 결코 미룰 수 없다. 연구실 안전 정책을 통해 우리 사회 오명(汚名) 중 하나인 안전 불감증을 해소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기사바로가기▶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11/2014021104375.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