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피해 확산 막는다”…
안전원, 극한호우 피해 교육시설 및 임시주거시설 전방위 점검 돌입
◈ 침수, 누수, 토사 유입 등 피해 교육시설 긴급 현장 조사 및 가지급금 신청 안내 등 피해 복구 총력 대응
◈ 안전원, 극한호우 비상 대응 체계 가동...15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대상 안전 점검 완료
|
□ 한국교육시설안전원(이하 ‘안전원’)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극한호우로 인해 전국 290개 교육시설에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수해 피해 긴급 현장 조사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이번 극한호우 피해 학교는 충남, 경남, 광주 등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안전원은 즉시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해 피해 실태조사와 대피시설의 안전 확보에 나섰다.
◦ 안전원은 16일 충청지역 2,224교 1,785명 대상, 17일 13,423교 11,651명 대상으로 극한호우 관련 재난안전문자를 2회 발송해 피해 예방과 안전 조치 사항을 안내했다.
◦ 특히 지난 17일에는 충남 서해안 지역에 피해가 집중되자 이사장 주재로 긴급 비상 회의를 소집하고, 수해 피해 학교에 대한 신속한 현장 조사와 복구 계획 수립을 즉각 지시했다.
□ 또한, 안전원은 지난 18일부터 각 권역별지부 주도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로 활용된 15개 교육시설 안전 점검도 병행하며 대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전방위적 지원에 나섰다.
◦ 점검 항목은 ▲건물 내·외부 ▲전기 ▲소방 ▲급·배수 ▲냉난방 ▲방송 설비 등 10여 개 분야이며, 일부 학교의 누수 및 피난로 관리 부실과 임시주거시설 주변 비탈면 토사 유실 등은 즉시 개선 조치하였고, 2차 피해 예방에 전념했다.

□ 아울러, 안전원은 23일 이번 극한호우에 따른 충남 당진 지역 수해 피해 2개교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구호 물품을 전달했다.
◦ 해당 학교들은 최근 수해 피해 발생으로 교실, 행정실 등 건물 내부 공간은 물론, 운동장까지 침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 이에 안전원은 현장 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세부적으로 점검하고, 학교 관계자들과 ▲피해 현황 ▲복구 예상 기간 및 비용 ▲재발 방지 대책 등의 현안을 공유하고 피해 복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안전원은 실시간으로 피해 현황을 집계하고 있으며, 피해 교육시설에 대한 일일 대응계획을 수립해 현장 조사를 지속하고 있다.
◦ 특히, 피해 학교에 대한 가지급금 신청 안내 등 피해 복구를 위한 종합 지원 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재해특교 점검도 추진할 예정이다.
□ 안전원 이사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호우 등 대형 재난 피해가 확산하는 만큼, 재난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체계와 긴급 현장 조사 등 재난 대응 체계를 강화하여 신속한 피해 복구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