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알림마당

한국교육시설안전원은 참여와 소통, 경청으로 회원에게 다가갑니다.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홍보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 : [카테고리,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내용] 구성됨
「안전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간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 운영협력」
작성자 CMS관리자
작성일 2023.04.11
조회수 270

 

안전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간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 운영협력

 

오는 17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관내 4개 학교 대상 운영

◈ 트라우마 치유 및 안전의 필요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예정

안전원, 타 시·도교육청 간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 계획

 

한국교육시설안전원(이사장, 박구병, 이하 안전원’)410()부터 17()까지 일주일간 제주특별자치도 관내 4개 학교(21학급 총 479)를 대상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정서복지과와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심리 안정화 교육)을 협력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심리 안정화 지원사업)은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약칭 교육시설법’)에 명시된 교육부와 안전원의 법정사업으로서 안전원 내부인력과 전국 약 700여명의 재난심리 전문가풀 등을 활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지난 2월 안전원은 시·도교육청 위(Wee) 프로젝트 업무담당자 워크숍을 개최해 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심리지원 사업 안내 및 의견 수렴 등을 진행한 바 있으며 재난 트라우마 예방 및 관리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함을 공감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정서복지과와 함께 운영협력하여 진행하게 됐다.

 

 

이번 안전주간에 운영되는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은 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심리 안정화 교육(실습·이론) 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심리 안정화 지원사업 안내(컨설팅) 안전 주간 내 심리 안정화 지원 추진 배경 트라우마 치유 및 안전의 필요성 등의 내용을 안내하고 운영될 예정이다.

 

심리 안정화 교육은 각 대상별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학생 대상 교육 내용은 1) 재난 트라우마 반응 이해(정상화) 2) 자기돌봄방법 3) 대처방법 4) 심리 안정화 기법 실습 5) 회복에 도움되는 지지적 의사소통 방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직원 대상 교육은 1) 재난 트라우마 반응 이해(정상화) 2) 자기돌봄과 대처를 위한 심리 안정화 교육 3) 대상별 대응 방안 가이드 안내 4) Q&A 등 행정지원 안내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안전원 박구병 이사장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정서복지과의 운영협력으로 2023년 안전 주간을 운영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교육시설의 화재 등 재난 발생 전후 학생 및 교직원 등이 정신적 충격으로 인한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 많은 협력체계가 구축되길 기대한다.”라며

ㅇ 아울러 안전원은 앞으로도 타 시·도교육청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학교 재난 발생 이후 교육정상화가 이루어지고 학생과 교직원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응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안전원의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심리 안정화 지원사업) 신청절차는 학교현장의 행정업무 과중을 고려해 간소화하여 운영되고 있다. 재난 발생 이후 학교에서 재난 상황을 통보하고 양식에 따른 신청서를 제출하면 신청이 완료된다.

재난 전 사전예방교육은 올해 하반기 각 시·도교육청으로 안내 공문이 발송될 때 신청하면 차기 연도에 참여할 수 있다.

첨부파일 [보도자료] 「안전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간 함께하는 마음안정프로그램 운영협력」.hwp
관련사진1.jpg
관련사진2.jpg